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TOP

 

Professor

이재림 부교수

Lee, Jaerim

전공가족학 (가족관계 연구실)
주소222동 411호
연락처02-880-6853
이메일jrlee@snu.ac.kr

이재림 부교수

Lee, Jaerim

전공가족학 (가족관계 연구실)
연구실222동 411호
연락처02-880-6853
이메일jrlee@snu.ac.kr
학력사항

2009.

University of Minnesota 대학원 Family Social Science 박사 (Family Policy Minor)

2003.

서울대학교 대학원 아동가족학과 박사수료

2001.

서울대학교 대학원 아동가족학과 석사

1998.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소비자아동학과 학사
경 력
  • 현.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아동가족학과 부교수
  • 현.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교무부학장
  • 전. Fulbright Visiting Scholar at Montclair State University
  • 전. 성균관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소비자가족학과 조교수
  • 전. 영남대학교 생활과학대학 가족주거학과 조교수
연구분야
  • 가족 및 친밀성의 맥락에서 본 청년, 성인기 세대관계
  •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
  • 다양한 가족
  • 소셜 빅데이터 활용 가족연구
외부활동
  • 한국가족정책학회: 편집위원장(2020-현재)
  • 가정과삶의질학회: 학술이사(2017), 사업이사(2015, 2018-2019), 기획이사(2020-2021), 상임이사(2022-2024), 편집위원(2011-2014)
  • 한국가족관계학회: 학술이사(2017, 2021, 2023), 총무이사(2013), 재무이사(2015, 2020), 국제이사(2014), 윤리이사(2024), 편집위원(2015-2021), 자격위원(2013-2014, 2021-2022)
  • 대한가정학회: 이사(2013-현재)
  • 한국인간발달학회: 이사(2020-2023)
  • 관악구 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 전문위원 (전 운영위원)
  • (사)가정을건강하게하는시민의모임 : 등기이사(2018-2023)
  • 한국가족학회: 총무이사(2017-2018), 편집위원(2015-2016), 연구위원
  • 한국부모교육학회: 총무이사(2011-2012)
  • Journal of Family Theory and Review, editorial board member (2024-현재 )
  • Journal of Comparative Family Studies, associate editor (2019-2021)
  • National Council on Family Relations, International Section, Student and New Professional Representative (2011-2013)
수상 및 자격
  • Fulbright visiting scholarship, U.S. Department of State / Fulbright Korea 2021.09.-2022.02.
  • CFLE (Certified Family Life Educator), National Council on Family Relations 2007-현재
  • 가족생활교육전문가(한국가족관계학회) 2013-현재
  • 우수논문상(2020년 가정과삶의질연구 게재논문; 이진경, 이재림, 박선영)
  • 우수포스터논문상(2023년 가정과삶의질학회 추계학술대회, 2023년 생활과학분야 춘계공동학술대회, 2018년 대한가정학회 주관 춘계통합학술대회, 2018년 대한가정학회 주관 춘계통합학술대회, 2018년 한국가정관리학회 추계학술대회, 2016년 한국가정관리학회 주관 공동춘계학술대회 등)
  • Society for the Study of Emerging Adulthood (SSEA). International Research in Emerging Adulthood Award 2019
  • 강의우수교수상(영남대학교 2012)
  • National Council on Family Relations, International Section, International Travel Scholarship 2011, 2012
  • University of Minnesota, Doctoral Dissertation Fellowship 2008-2009
  • University of Minnesota, Department of Family Social Science, Shirley Zimmerman Fellowship 2008-2009
  • Phi Upsilon Omicron Alpha Chapter, Margaret Drew Endowment Fund Graduate Scholarship 2008
  • University of Minnesota, Department of Family Social Science, Waller Fellowship 2007, 2008
학술지 논문
  • 최보람, 이재림(2024). 자립준비청년의 생활세계 속 실존 체험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Human Ecology Research, 62(2), 279-294. http://doi.org/10.6115/her.2024.019
  • 신하은, 김나현, 이재림(2024). 청년의 삶의 영역별 중요도와 동거의향 및 비혼의향의 관계: 결혼에 대한 긍정적, 부정적 태도의 매개효과. 한국가족관계학회지, 28(4), 47-64. https://doi.org/10.21321/jfr.28.4.47
  • 손서희, 이재림(2023). 서울시민의 부부교육 및 부모교육 참여의향 관련 요인 탐색: Andersen과 Newman의 행동모델 활용. 가정과삶의질연구, 41(4), 39-53. https://doi.org/10.7466/JFBL.2023.41.4.39 
  • Oh, S., & Lee, J. (2023). Parental financial assista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Korean emerging adults: Pressure from and fulfillment of parental career expectations as mediators. Emerging Adulthood, 11(5), 1119-1130. https://doi.org/10.1177/21676968231172550
  • Lee, J., Yoo, J., Chin, M., Son, S., Sung, M., & Chang, Y. E. (2023). Pathways from economic hardship to couple conflict by socioeconomic status during COVID-19 in Korea. Family Relations, 72(1), 60-76. https://doi.org/10.1111/fare.12771
  • Ko, K., Lee, S.-A., Lee, J. (2023). The integrative conceptual model: Ecological risk and protective factors for East Asian immigrant fathers’ psychological well-being in  the United States. Family Science Review, 27(1). http://doi.org/10.26536/KKBW3017
  • 이지훈, 이재림(2023). 온 가족이 모여있는 가상의 거실: 기혼자의 가족단톡방 활용 체험. 한국가족관계학회지, 28(3), 1-. https://doi.org/10.21321/jfr.28.3.1
  • 백예슬, 이재림(2023). 청년의 형제자매 온정 및 갈등 관련 요인 성별 다층모형 분석: 형제자매 및 부모자녀 특성을 중심으로. Human Ecology Research, 61(3), 319-333. https://doi.org/10.6115/her.2023.021
  • 김서영, 이재림(2023). 가족돌봄청년의 돌봄 경험과 가족체계 역동. 한국가족관계학회지, 28(1), 3-32. https://doi.org/10.21321/jfr.28.1.3
  • 박인숙, 이재림(2023). 초등학교 저학년 자녀의 학교생활 파악과 취업모의 일-자녀교육 갈등의 관계: 양육역량의 조절효과. 가정과삶의질연구, 41(3), 17- 30. https://doi.org/10.7466/JFBL.2023.41.3.17
  • Shin, Y., Lee, J., & Yoo, J. (2022). Absolute and relative relationships with parents and parents-in-law and their associations with marital intimacy in Korea. Asian Women, 38(4), 113-141. https://doi.org/10.14431/aw.2022.12.38.4.113
  • 박선영, 이재림(2022). 한국 청년의 결혼의향 영향요인 메타분석. 한국가족관계학회지, 27(1), 107-137. https://doi.org/10.21321/jfr.27.1.107
  • 박선영, 이재림(2022). 결혼관의 개념화 및 측정의 이슈: 국내 선행연구 고찰. 가정과삶의질연구, 40(1), 53-75.
  • 박지수, 이지훈, 백예슬, 김서영, 이재림(2022). 예비부부교육 참여의향 및 참여행동 예측요인: Andersen과 Newman의 행동모델 적용. 한국가족관계학회지, 27(2), 233-257. https://doi.org/10.21321/jfr.27.2.233
  • 박인숙, 이재림(2022). 초등학생 자녀를 둔 취업모의 일-가족·양육 갈등 및 향상 유형: 다양한 예측 요인과 심리적 결과.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26(2), 19-36.  https://doi.org/10.22626/jkfrma.2022.26.2.002
  • 우공평, 이재림(2022). 중국 기혼여성의 자녀양육기 발달과업과 둘째 출산의향: 부모역할 적응, 양육분담, 부부적응을 중심으로.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60(1), 147-162.
  • 김영선, 이강이, 이재림(2022). 초등학교 학부모의 교육참여: 학부모교육참여패널 1-4학년 기초분석 결과. 가족정책연구, 2(1), 65-87. https://doi.org/10.52946/jfp.2022.2.1.65 
  • 김수정, 박혜준, 이재림, 김영선, 이보람, 노신애(2022). 맞벌이 가정의 초등자녀 방학돌봄 잠재유형과 유형별 예측요인 및 양육스트레스. 인간발달연구, 29(3), 113-132. https://dx.doi.org/10.15284/kjhd.2022.29.3.113
  • 이재림, 노신애, 박지수(2021). 서울시건강가정지원센터 서울가족학교 아동기 부모교실의 효과성: 2020년 비대면 운영사례 분석. 한국가족관계학회지, 26(3), 3-32.
  • 최정아, 이재림, 김영선(2021). 초기 사춘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실천과 모-자녀관계의 재구성: 초등학교 4학년을 중심으로. 인간발달연구, 28(4), 157-185.
  • 김혜지, 이재림(2021). 35세 이상 성인자녀와 부모의 동거: 세대관계 특성과 생활만족도의 관련성.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59(3), 369-386.
  • 박선영, 이재림(2021). 소셜 빅데이터로 알아본 코로나19와 가족생활: 토픽모델 접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1(3), 282-300.
  • 김영선, 이재림, 최정아(2021). 코로나19 시기 초등학교 4학년 자녀를 둔 어머니의 자녀양육 및 자녀교육 경험. 인간발달연구, 28(3), 1-27.
  • 손서희, 성미애, 유재언, 이재림, 장영은, 진미정(2021).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한 가계경제 악화가 가족생활과 심리적 복지에 미친 단기종단적 영형과 조절요인. 한국가족관계학회지, 26(1), 3-25.
  • 김은주, 이재림(2021). 가족식사의 다차원성과 가족건강성: 학령기 어머니를 중심으로.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59(2), 169-183.
  • 김영선, 이재림, 최새은(2021). 학령기 가족식사의 실태, 어머니의 인식, 실천적 제언. 가족정책연구, 1(1), 79-94.
  • 성미애, 이재림(2021). 상속을 경험한 아들의 관점에 본 상속재산의 분배방식과 분배정의. 가정과삶의질연구, 39(3), 15-33.
  • 성미애, 이재림(2021). 사별여성의 상속경험을 통해 본 상속과정, 가족관계 변화, 상속에 대한 인식, 한국가족관계학회지, 26(1), 145-164.
  • 박하연, 이재림, 이강이(2021). 육아와 조부모: 온라인 카페 게시글 토픽모델 분석. 가정과삶의질연구, 39(2), 91-107.
  • 장유민, 이재림, Chung, G. (2021). 소셜 빅데이터에 나타난 국제결혼 및 다문화: 토픽모델 분석. 가정과삶의질연구, 39(4), 83-99.
  • Lee, J., Chin, M., & Sung, M. (2020). How has COVID-19 changed family life and well-being in Korea? Journal of Comparative Family Studies, 51(3-4), 301-313.
  • 이진경, 이재림, 박선영(2020). 소셜 빅데이터 연구를 위한 커플 파트너십 온톨로지 개발. 가정과삶의질연구, 38(4), 1-21. (가정과삶의질학회 우수논문상 수상)
  • 최하영, 이재림, 진미정(2020). 친밀한 파트너십과 가족정책 관련 뉴스기사 및 댓글에 대한 토픽모델 분석. 가족과 문화, 32(4), 29-60.
  • 진미정, 성미애, 손서희, 유재언, 이재림, 장영은(2020).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가족생활 및 가족관계의 변화와 스트레스.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58(3), 447-461.
  • 안수빈, 이강이, 이재림, 김은경(2020). 소셜 빅데이터를 활용한 양육스트레스의 의미 네트워크 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8(1), 61-77.
  • 이재림, 박제인, 김혜지, 오상민, 권소영(2020). 청년의 세대관계 유형화: 세대 간 결속의 하위차원을 중심으로.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58(1), 43-60.
  • 이진경, 이재림(2019). 한국 청년의 세대 간 양가성과 세대 간 결속의 연관성 탐색.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7(1), 1-21.
  • 권소영, 박제인, 이재림(2019). 청년의 자아분화 유형 및 유형별 특성: 잠재프로파일 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7(3), 19-36.
  • 권소영, 이재림(2019). 맞벌이 부부의 근로시간 유형화와 유형별 일·생활 균형 – 근로시간의 양, 근로시간대, 근로시간 유연성을 중심으로 -.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7(4), 1-25.
  • 권소영, 이재림(2019). 초등학교 1-2학년 시기 어머니의 교육참여 유형과 종단적 변화: 잠재전이모형 분석. 인간발달연구, 26(4), 21-45.
  • 박지수, 이재림(2019). 군인의 직업특성과 군인아내의 결혼만족도 및 양육스트레스의 관련성: 부정적 인식과 군인가족 자부심의 매개효과.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57(1), 27-40.
  • 김성숙, 성미애, 서미정, 이민아, 이재림(2019). 한국가정관리학회, 또 다른 시작을 위한 발전방안.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7(2), 1-16.
  • Lee, J., & Solheim, C. A. (2018). Associations between familism and psychological adjustment among Korean emerging adults: Underlying processes. Journal of Comparative Family Studies, 49(4), 409-435.
  • 권소영, 박지수, 이재림(2018). 의미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양육스트레스 관련 국내 학술지 연구 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6(4), 57-72.
  • 이진경, 이재림(2018). 한국판 세대 간 심리적 양가성 척도 타당화: 청년자녀를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23(3), 105-130.
  • Lee, J., & Kang, S. (2018). Perceived helicopter parenting and Korean emerging adults’ psychological adjustment: The mediational role of parent-child affection and pressure from parental career expectations. Journal of Child and Family Studies, 27, 3672-3686.
  • 이수현, 이강이, 이재림, 김영선, 유예진(2018). 어머니의 사회적 지원과 학령 전 아동의 학교준비도: 양육 역량의 매개효과. 인간발달연구, 25(3), 181-202.
  • 성미애, 최새은, 최연실, 이재림(2018). 이혼한 딸과 부모의 동거 경험 -일방적 의존과 상호적 의존의 경계에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6(2), 133-156.
  • 엄세원, 이재림(2018). 한국 근로자의 일중독: 일중독 척도 타당화 및 고용불안정성과 가족관계만족도와의 관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6(1), 1-23.
  • 박지수, 이진경, 이재림(2018). 국내 커플관계교육 연구의 프로그램 개발과정 분석: 생활과학분야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22(4), 81-105.
  • 성미애, 이재림, 최연실, 최새은(2017). 아버지 부재 비혼 딸과 어머니의 동거 경험: 일방적 의존과 상호적 의존의 경계에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5(3), 81-98.
  • 강시은, 이재림(2017). 한국판 헬리콥터 부모역할 지각 척도(Helicopter Parenting Scale) 타당화: 30대 초반까지의 청년을 대상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22(2), 3-25.
  • 이재림(2017). 성인자녀의 상속과정 경험과 가족관계의 변화. 가족과 문화, 29(1), 225-264.
  • 최혜영, 이강이, 이재림, 이수현(2017). 다문화가족 어머니의 학교참여 경험: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인간발달연구, 24(1), 159-181.
  • 권소영, 강시은, 엄세원, 박지수, 이재림(2017). 청년 남녀의 사회경제적 특성 및 세대관계 특성이 결혼의향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지, 21(4), 3-25.
  • 성미애, 최연실, 최새은, 이재림(2017). 부모-비혼 성인자녀 관계의 재조명: 동거 및 경제적 의존 여부에 따른 집단별 특성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5(1), 139-158.
  • 최정아, 조희선, 이재림(2016). 청소년기 아들의 아버지와의 관계 체험에 관한 연구. 가족과 문화, 28(2), 64-110.
  • 성미애, 최연실, 이재림(2015). 출산 연기형 무자녀 기혼 남성의 출산 연기 배경, 자녀에 대한 태도, 저출산 정책 요구도. 가족과 문화, 27(4), 1-33.
  • 장경섭, 진미정, 성미애, 이재림(2015). 한국사회 제도적 가족주의의 진단과 함의 -소득보장, 교육, 돌봄 영역을 중심으로-. 가족과 문화, 27(3), 1-38.
  • 김주은, 이재림(2015). 대학생의 애착인물별 성인애착 수준 유형화: 잠재프로파일 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3(4), 119-145.
  • 장은경, 이재림(2015). 대학생의 자아분화 및 성인애착과 사려형, 억제형, 반동형 대처양식의 관련성. 한국가족관계학회지, 20(2), 27-53.
  • 남보람, 이재림, 최새은(2015). 재판상 상속재산 분할에서 배우자와 자녀의 기여분에 관한 판례 분석. 가족과 문화, 27(2), 212-261.
  • 최정아, 이재림(2015). 오이디푸스 그 너머의 아버지: 정신분석학에서의 아버지 재조명.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4(2), 429-451.
  • 성미애, 최연실, 이재림(2015). 출산 연기형 무자녀 기혼 여성의 관점에서 본 출산 연기의 맥락과 정책적 제언. 가족과 문화, 27(1), 271-303.
  • 최여진, 이재림(2014). 성인자녀에 대한 아버지와 어머니의 도구적 지원 관련 요인: 지원에 관한 태도 및 지원 제공을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2(5), 87-105.
  • 전예지, 이재림(2014). 대학생과 미취업 대졸자 청년이 지각한 부모의 진로기대, 부모로부터의 심리적 독립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9(3), 119-146.
  • 권소희, 이재림(2014). 아버지와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의 관계에서 자아분화의 매개효과.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2(5), 41-61.
  • 손서희, 이재림(2014). 미취학 자녀를 둔 취업모의 경제활동 중단 의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2(3), 157-177.
  • 최연실, 성미애, 이재림(2014). 한국 무자녀 부부의 초상 I : 무자녀 유형에 따른 심리적 복지, 부부관계 및 자녀에 대한 태도. 가족과 문화, 26(1), 40-71.
  • 성미애, 최연실, 이재림(2014). 한국 무자녀 부부의 초상 II : 자발형과 비자발형 무자녀 기혼자의 심리적 복지 예측 요인 탐색. 가족과 문화, 26(1), 72-101.
  • Lee, J., & Bauer, J. W. (2013). Motivations for providing and utilizing child care by grandmothers for employed mothers in South Korea.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75, 381-402. doi: 10.1111/jomf.12014
  • Sung, M., & Lee, J. (2013). Adult sibling and sibling-in-law relationships in South Korea: Continuity and change of Confucian family norms. Journal of Comparative Family Studies, 44, 571-587.
  • Sung, M., Chin, M., Lee, J., & Lee, S. (2013). Ethnic variations in factors contributing to the life satisfaction of migrant wives in South Korea. Family Relations, 62, 226-240. doi: 10.1111/j.1741-3729.2012.00753.x
  • 이재림, 손서희(2013). 미취학 자녀를 둔 맞벌이 여성의 일-가족 갈등 : 직장 및 자녀양육 관련 자원과 지각을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8(1), 93-114.
  • 이재림, 김지애, 차동혁, 이향희(2013).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 메타분석 : 국내 학술지 연구를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1(3), 27-47.
  • 이재림(2013). 손자녀 양육지원에 따른 조모와 취업모의 관계 경험: 세대간 지원 제공 및 수혜의 의미.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1(2), 1-24.
  • Chin, M., Lee, J., Lee, S., Son, S., & Sung, M. (2012). Family policy in South Korea: Development, current status, and challenges. Journal of Child and Family Studies, 21, 53-64.
  • 성미애, 진미정, 이재림, 최새은(2012). 건강가정사의 직무 및 근무환경 인식. 한국생활과학회지, 21(3), 452-468.
  • 이재림, 김지애, 이윤주, 진윤아(2012). 아버지의 부모역할 수행과 자녀의 발달특성의 관련성 메타분석.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7(1), 151-173.
  • Lee, C-Y. S., Lee, J., & August, G. J. (2011). Financial stress, parental depressive symptoms, parenting practices, and children’s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Underlying processes. Family Relations, 60, 476-490.
  • Lee, J., Katras, M. J., & Bauer, J. W. (2010). Values underlying rural low-income mothers’ voices about welfare and welfare reform: An inductive analysis.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Ecology, 11(2), 63-75.
  • Lee, J., & Bauer, J. W. (2010). Profiles of grandmothers providing child care to their grandchildren in South Korea. Journal of Comparative Family Studies, 41, 455-475.
  • Gudmunson, C. G., Son, S., Lee, J., & Bauer, J. W. (2010). EITC participation and association with financial distress among rural low-income families. Family Relations, 59, 369-382.
  • Sano, Y., Katras, M. J., Lee, J., Bauer, J. W., & Berry, A. A. (2010). Working towards sustained employment: A closer look on intermittent employment of rural low-income mothers. Families in Society: The Journal of Contemporary Social Services, 91, 342-349.
  • Lee, J., Katras, M. J., & Bauer, J. W. (2009). Children’s birthday celebrations from the lived experiences of low-income rural mothers. Journal of Family Issues, 30, 532-553.
  • Berry, A. A., Katras, M. J., Sano, Y., Lee, J., & Bauer, J. W. (2008). Job volatility of rural, low-income mothers: A mixed methods approach. Journal of Family and Economic Issues, 29, 5-22.
  • 김혜선, 이재림(2004). 30대 중후반 기혼남녀의 배우자선택과 결혼생활의 의미. 가족과 문화, 16(2), 3-54.
  • 옥선화, 성미애, 이재림(2003). 빈곤 여성가장의 삶의 과정에 관한 질적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1(2), 65-92.
  • 옥선화, 이경희, 이재림, 성미애(2003). 빈곤 여성가장 가족의 모-자녀관계 증진 프로그램 -우리는 함께 크는 나무-.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1(3), 103-115.
  • 이재림, 옥선화, 이경희(2002). 이성교제에서의 남녀차이 이해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대학생을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0(5), 37-49.
  • 옥선화, 성미애, 배희분, 이재림(2002). 빈곤 여성가장의 대처전략에 관한 질적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0(6), 223-243.
  • 옥선화, 성미애, 이재림, 이경희(2002). 빈곤 여성가장의 모-자녀관계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7(3), 55-78.
  • 이재림, 옥선화(2001). 저소득층 여성가장의 가족생활사건, 사회적 지원, 자녀의 지원과 생활만족도. 대한가정학회지, 39(5), 49-64.
주요 저서 및 챕터
  • 이정화, 이재림, 이규호, 민주홍(2023). 결혼과 가족: 친밀한 관계의 변화와 선택. 신정.
  • 진미정, 고선주, 권순범, 남영주, 배희분, 성미애, 이경희, 이소영, 이재림, 장미나, 장주영, 차승은, 최새은, 허정원(2022). 가족과 돌봄. 하우.
  • 이재림(2022). 맞벌이 가구의 구성과 특성. 통계청 통계개발원, 한국의 사회동향 2022 (pp. 84-93).
  • 기쁘다, 성미애, 이재림(2020). 가족생활교육. 서울: KNOU Press.
  • Lee, J., & Son, S. (2018). Family life education in Korea. In M. Roblia, & A. Taylor (Eds), Global perspectives on family life education (pp. 17-31). Cham, Switzerland: Springer.
  • Lee, J., & Chin, M. (2017). Family and marriage. In B. S. Turner, K.-S. Chang, C. F. Epstein, P. Kivisto, J. M. Ryan, and W. Outhwaite  (Eds.), The Wiley Blackwell encyclopedia of social theory. Wiley-Blackwell. doi: 10.1002/9781118430873 (ISBN: 9781118430873)
  • Jang, J., Lee, S., Sung, M., & Lee, J. (2016). Chapter 8 family relationships and communication in South Korea. In G. Jian & G. Ray (Eds.), Relationships & communication in East Asian cultures: China, Japan, and South Korea (pp. 165-196). Dubuque, IA: Kendall Hunt.

  • Han, Y., & Lee, J. (2016). Korea, South. In C. Shehan (Ed.), The Wiley Blackwell encyclopedia of family studies (pp. 1836-1839). Wiley-Blackwell.

  • 최연실, 고선주, 권희경, 남영주, 배희분, 성미애, 송명숙, 양현아, 이경희, 이소영, 이재림, 장주영, 정정기, 조은숙, 진미정, 최새은(2015). 한국가족을 말하다: 현상과 쟁점. 서울: 하우.

  • 성미애, 어성연, 이재림(2014). 가족생활교육. 서울: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 Berry, A. A., Katras, M. J., Sano, Y., & Lee, J. (2014). Staying at home: Low-income mothers in rural America. In E. R. Boyd, & G. Letherby (Eds.), Stay-at-home mothers: Dialogues and debates (pp. 73-84). Demeter Press.

  • Chin, M., Lee, J., Lee, S., Son, S., & Sung, M. (2013). Family policy in South Korea: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In M. Robila (Ed.), Handbook of family policies across the globe (pp. 305-318). New York: Springer.

  • Sano, Y., Richards, L. N., & Lee, J. (2011). Chapter 6: Invisible barriers to employment: Mental and behavioral health problems that hinder self-sufficiency. In J. W. Bauer, & E. M. Dolan (Eds.). Rural families and work: Context and problems (pp, 185-205). Springer.

  • Mammen, S., Lawrence, F. C., & Lee, J. (2011). Chapter 10: The Earned Income Tax Credit: A boost to rural family income and an incentive for employment. In J. W. Bauer, & E. M. Dolan (Eds.). Rural families and work: Context and problems (pp, 185-205). Springer.

연구과제
  • 연구책임자(2024-2027). 왜 어떤 날은 육아가 덜 힘들까?: 장소경험 및 양육스트레스에 대한 일상다이어리 접근. 한국연구재단 공동연구지원사업.
  • 연구책임자(2024). 2024 서울가족서베이 조사연구. 서울시가족센터.
  • 공동연구원(2024). 서대문구 저출생 대응 정책수립 연구용역.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 연구책임자(2023). 2023 서울가족보고서 연구. 서울시가족센터.
  • 연구책임자(2022). 한국 청년의 일과 사랑의 지형과 교차성. 아산사회복지재단 학술연구지원사업.
  • 공동연구원(2021, 2022). 서울가족보고서. 서울특별시가족센터.
  • 연구책임자(2020). 2020 서울가족사업 효과성 연구. 서울시건강가정지원센터.
  • 연구책임자(2020). 코로나19와 학부모의 경험. 서울대학교 학부모정책연구센터 수시과제.
  • 연구책임자(2019). 2019 1인가구 가족정책 조사연구. 서울시건강가정지원센터.
  • 연구책임자(2019-2020).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결혼 관련 소셜 빅데이터 분석. 서울대학교 미래기초학문분야 기반조성사업.
  • 연구책임자(2019). 가족식사 부모교육 프로그램 2.0 -초등학생 학부모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학부모정책연구센터 수시과제.
  • 공동연구원(2019). 육아존중문화로의 패러다임전환과 긍정적 육아문화 조성방안 연구. 육아정책연구소.
  • 공동연구원(2019). 2019 서울가족보고서 희망서울 행복가족 연구. 서울시건강가정지원센터.
  • 공동연구원(2018). 서울시 초등방과후 돌봄체계 구축을 위한 기본계획 수립. 서울특별시.
  • 공동연구원(2018). 2018 서울가족보고서 희망서울 행복가족 연구. 서울시건강가정지원센터.
  • 공동연구원(2018). 서울대학교 공동체세우기 비전과 전략. 서울대학교 평의원회.
  • 공동연구원(2018). 초등학교 전이기 학부모의 학교참여 경험 연구. 서울대학교 학부모정책연구센터 수시과제.
  • 공동연구원(2017-2020). 학부모교육참여패널연구. 서울대학교 학부모정책연구센터 기본과제.
  • 공동연구원(2017-2018). 서울지역 돌봄정책 및 서비스 실태와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시건강가정지원센터.
  • 공동연구원(2016). 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 통합서비스 운영기관 교육과정 운영안 개발. 한국건강가정진흥원.
  • 참여교수(2016-2020). BK21 플러스 5C형 아동가족학 인재양성 사업팀. 한국연구재단.
  • 공동연구원(2016). 다문화가정 학부모의 학교참여 지원 방안 연구. 서울대학교 학부모정책연구센터 수시과제.
  • 공동연구원(2015). 한부모를 위한 학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 초등학교 고학년 자녀와 함께 하는 가족 일일캠프 -. 서울대학교 학부모정책연구센터 수시과제.
  • 공동연구원(2015.11.-2017.10.). ‘일방적 의존’과 ‘상호성’의 경계에서: 동거 경험을 통한 부모-성인자녀 관계의 재조명. 한국연구재단 일반공동연구지원사업.
  • 연구책임자(2015.5.-2016.4.).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청년의 부모자녀관계. 서울대학교 신임교수정착금.
  • 연구책임자(2015.5.-2016.4.). 부모의 지원에 대한 청년의 인식과 심리적 복지.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신임교수연구비.
  • 연구책임자(2014.5.-2015.4.). 부모 및 배우자 사망 이후 재산상속 경험과 가족관계의 재구성. 한국연구재단 신진연구자지원사업.
  • 공동연구원(2014.4.-2014.12.). 가족의 갈등과 대응방안 연구: 가족관계 갈등과 가족기능 갈등을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과제.
  • 공동연구원(2013.4.-2013.12.). 저출산고령화 시대의 한국 가족주의에 대한 진단과 정책적 함의.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위탁연구과제.
  • 공동연구원(2012.9.-2014.8.). 한국 무자녀부부의 초상: 자발성, 가족인식, 가족 및 사회적 관계와 가족정책 요구도. 한국연구재단 일반공동연구지원사업.
  • 공동연구원(2011.4.-2011.12.). 가족정책기초연구. 여성가족부 연구용역과제.
  • 연구책임자(2011.3.-2012.2.). 문화적 가치, 자아분화 및 심리적 복지와의 관계: 한국, 타이완, 미국 대학생의 비교. 영남대학교 학술연구비.
  • 연구책임자(2010.5.-2011.2.). 손자녀 양육지원과 관련된 조모와 취업모의 경험. 한국연구재단 학문후속세대지원 박사후국내연수.
  • 운영진 및 보조연구원(2010.5.-2010.10.). 2010년 제2차 가족실태조사. 여성가족부 연구용역과제.
  • 공동연구원(2010.2.-2010.4.). 가정의 건강성 지수 개발을 위한 연구. 대한가정학회 가정학실천특별위원회 위탁연구과제.
  • Research Assistant(2004.8.-2008.5.). Rural Families Speak Project: Tracking the Well-Being and Functioning of Rural Families in the Context of Welfare Policies. USDA/CSREES/NRICGP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