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미정 교수
Chin, Meejung
2001.
2000.
펜실베니아주립대학교 박사.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University Park, PA (인간발달 및 가족학, 인구학 복수전공)
1993.
서울대학교 대학원 소비자아동학과 석사 (가족학 전공)
1991.
- 가족정책, 일•생활 균형 정책, 저출산 및 돌봄정책, 전달체계
- 가족인구학, 가족구조, 파트너십
- 탈북가족, 다문화가족
2004. 02 – 현재.
2018. 09 – 현재.
2011. 06 – 2020. 12.
2018. 09 – 2019. 12.
2017. 09 – 2018. 08.
Montclaire State University 방문교수
2015. 08 – 2017. 07.
2014. 01 – 2017. 07.
2013. 06 – 2015. 07.
서울대학교 평생교육원 전문자격과정 부장교수
2010. 03 – 2011. 01.
2006. 04 – 2009. 12.
관악구 건강가정지원센터 센터장
2001. 08 – 2004. 01.
Chapin Hall Center for Children, University of Chicago 연구원
2000. 06 – 2001. 05.
2000. 09 – 2001. 06.
Harris School of Public Policy Studies, University of Chicago 박사후과정
2020. 06. – 현재
2023. 05. – 현재
2023. 01. – 현재
2022. 04. – 현재
2022. 04. – 현재
2021. 06. – 현재
2020. 01. – 현재
2022. 10. – 현재
2023. 03. – 현재
2021. 11. – 2023. 05.
2021. 06. – 2023. 05
2020. 02. – 2022. 06.
2020. 01. – 2021. 02.
2019. 11. – 2020. 11.
2019. 09. – 2022. 10.
2018. 04. – 2019. 12
한국가족정책학회 회장
저출산고령사회운영위원회 인구정책기획단 위원
서울시 인구변화대응위원회 위원
보건복지부 자체평가위원회 위원
서울시 민간위탁운영평가위원회 위원
관악구 청년정책위원회 위원장
서울시가족센터 운영위원회 위원
한국여성인권진흥원 비상임이사
아동권리보장원 비상임이사
한국건강가정진흥원 경영자문위원회 위원
기획재정부 제5기 국가중장기전략위원회 위원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아동돌봄분과 위원
육아정책연구소 연구자문위원
여성가족부 정책자문위원
서울시 사회보장위원회 위원
한국건강가정진흥원 이사
2022.
2019.
2016.
2016
2015.
2010.
2008.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교수학술상
세계일보 다문화정책 대상 (관악구 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
교육부 학부모정책추진 유공자 표창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과학기술 우수논문상
국민포장 (관악구 건강가정지원센터·다문화가족지원센터)
LG연암학술문화재단 해외교수 지원 선정
보건복지가족부 장관 표창 (관악구 건강가정지원센터장)
- 진미정 외 (2022). 가족과 돌봄. 도서출판 하우.
- 진미정 외 (2020). 북한주민의 일상생활 둘러보기. 북한이탈주민에게 전해 들은 북한의 생활문화. 서울대학교 생활과학총서 9. 파워북.
-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다문화생활교육센터 (2017). 결혼이주여성과 다문화가족의 생활문화.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 진미정 (2015). 한국가족정책의 특수성과 과제: 미시공공성과 공동체성. 최연실 외. 한국가족을 말하다: 현상과 쟁점. 도서출판 하우.
- 이순형, 최연실, 진미정 (2015). 북한이탈주민의 종교경험.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 조현지, 진미정 (2024). 초산 당시 아버지의 직장 특성과 둘째 출산의 관계: 복리후생제도와 직무만족도를 중심으로. 가족정책연구, 4(1), 25-43.
- 강솔, 진미정 (2024). 초등학교 1학년 세계시민교육 교수‧학습과정안 개발 및 평가: 실과 가정영역 실천적 문제를 중심으로.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36(1), 71-94.
- 김유진, 진미정 (2024). 연령대별 비혼 동거자의 특성 및 혼인신고 의향 관련 요인. 한국가족관계학회지. 29(1), 25-46.
- 이지혜, 진미정 (2024). 육아휴직제도 변화와 여성 임금근로자의 취업상태. 보건사회연구. 44(1), 403-430.
- 김유진, 조현지, 진미정 (2023). 빅데이터를 활용한 코로나19 전후 1인 가구 뉴스기사 비교. 가정과삶의질연구, 41(4), 25-36.
- 성미애, 진미정, 기쁘다 (2023). 어떤 가족의례가 살아남는가?: 결혼과 임신·출산 의례의 젠더 및 세대 비교. 가족정책연구, 3(2), 85-99.
- 신영미, 진미정 (2023). 면접교섭과 양육비 이행이 이혼한 양육모와 청소년 자녀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 Human Ecology Research, 61(4), 565-583.
- 조현지, 진미정 (2023). 나도 캥거루족인가요? : 부모와 동거하는 청년의 가구 내 상대소득 유형별 특성과 생활 만족도. 가정과삶의질연구, 41(3), 1-13.
- 모효설, 진미정 (2023). A Literature Review on the development of the Family Education Guidance Service in China. Human Ecology Research, 61(3), 415-427.
- 성미애, 진미정, 기쁘다 (2023). 제사와 상속을 통해서 본 유교적 가부장제의 현주소: 젠더별 세대 차이를 중심으로. 가정과삶의질연구, 41(3), 65-79.
- 진미정, 딩징야, 노신애 (2023). 다문화가족의 가족센터 장기이용과정 연구: 다문화부부의 경험을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28(2), 71-95.
- 진미정, 성미애, 기쁘다 (2023). 성별에 따른 결혼 인식의 세대 차이. 가정과삶의질연구, 41(1), 83-107.
- Jaerim Lee, Jaeeon Yoo, Meejung Chin, Seohee Son, Maia Sung, & Young Eun Chang (2023). Pathways from economic hardship to couple conflict by socioeconomic status during COVID-19 in Korea. Family Relations, 72(1), 60-76.
- 박정민, 진미정 (2022). 초등학교 고학년의 방과 후 시간사용과 시간부족감: 2009, 2019년 ‘생활시간조사’ 비교. 인간발달연구, 29(4), 31-48.
- 박정민, 김유진, 진미정 (2022). 초등 저학년 자녀를 둔 취업모의 일-자녀교육 갈등의 종단적 변화와 영향요인. 가정과삶의질연구, 40(4), 119-131.
- 박정민, 진미정 (2022). OECD 국가의 가족정책과 아동 삶의 질의 관계: 퍼지셋 질적 비교분석.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60(4), 593-605.
- 신영미, 진미정 (2022). 비양육부와의 면접교섭, 소통 빈도 및 ㅣ이혼부모간 관계가 청소년의 향후 면접교섭 의향에 미치는 영향: 비양육부에 대한 친밀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아동과 권리, 26(4), 503-522.
- 장미나, 진미정, 노신애 (2022). 가족센터 1인가구 프로그램에 관한 1인가구의 요구 탐색. 가족정책연구, 2(2), 51-67.
- 김안나, 김주은, 손승연, 윤수민, 윤태경, 이슬, 이은주, 이하은, 박정민, 진미정 (2022). 코로나19 시기 대학생활 변화와 대학생의 스트레스: 가족 동거 및 가족 탄력성의 조절효과. 한국가족관계학회지, 27(3), 81-99.
- 권순범, 진미정 (2022). 중년여성의 비혼자녀 주거독립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60(3), 391-406.
- 2024.05.30. 저출생·고령화사회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가족 서비스 방향성. 한국건강가정진흥원. 초청 특강.
- 2024.05.04. 가족이 사라진다. KBS 가정의달 특별 프로그램. 저 너머의 출산. 초청 특강.
- 2024.02.28. Fertility change from a perspective of megatrends in South Korean context. Asian Expert Group Meeting in celebration of the 30th anniversary of the international year of family, 2024. Families and megatrends interlinkages between migration, urbanization, new technologies, demographics trends and climate change. 초청 발표.
- 2023.12.08. 저출산·고령화와 가족의 변화. 행정대학원 AIC과정 강의.
-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가족 서비스 방향성 연구. 한국건강가정진흥원 가족정책연구 성과보고회.
- 2023.11.20. CBS 인구포럼: 인구구조 변화와 가족정책의 방향성.
- 2023.10.13. 가족정책 수요 및 만족도 조사: 가족센터 종사자 관점에서 보는 가족사업 수요. 서울시가족센터 공동심포지엄.
- 2023.09.20. 샤로잡다. 서울대학교 유튜브. 결혼, 가족은 사치재? 완전히 달라질 가족의 미래.
연구책임자)
- 2024. 6 – 2025.5. 출산장려금 및 아동수당의 출산율 제고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한국연구재단, 연구책임자)
- 2024. 4 – 2024.11. 서대문구 저출생 대응 정책수립 연구용역(서대문구, 연구책임자)
- 2024. 1 – 2024.12. 아동가족학 융합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 혁신사업(서울대학교, 연구책임자)
- 2023. 7 – 2023.11. (저출생)고령화사회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가족서비스 방향성 연구(한국건강가정진흥원, 연구책임자)
- 2023. 4 – 2023. 10. 2023 가족정책 수요 및 만족도 조사(서울시가족센터, 연구책임자)
- 2022. 9 – 2023. 8. 중년 여성의 갱년기 증후군 모니터링 및 웰에이징 융복합 지표와 애플리케이션 개발(서울대학교, 연구책임자)
- 2022. 6 – 2022.11. 서울대학교 구성원의 일·생활 균형 실태와 증진 방안(서울대학교다양성위원회, 연구책임자)